1990~1999
'질위주 경영' 선포로
초일류 기업을 지향하다
신경영을 통한 성장
1993년 6월 이건희 회장은 '질위주 경영'을 선포하였습니다.
삼성전기는 신경영의 방향과 부품업의 특성에 맞춘 다양한 신경영 활동을
추진했습니다.
부품 조립 사업에서 벗어나 소재부품 사업으로 나아가기 위해
재료·핵심기술을 갖추었으며 세계 무대에 존재감을 드러내기 시작했습니다.
사업구조 고도화와
컴퓨터 통신 관련
산업 발전에 기여하다


MLB(Multi Layer Board) 사업 전개
PCB는 전자기기 다방면에 걸쳐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매년 막대한 외화를 들여 수입하고 있는 부품이었습니다.
삼성전기는 전자기기 핵심부품을 생산하며 쌓은 기초기술을
바탕으로 MLB 사업에 역량을 집중해 세계 속의 종합부품 메이커로
도약하는 기반이 되었습니다.
* PCB : 부품 간 전기적, 기계적 연결을 하는 인쇄회로기판
양산 조립기술 중심에서 핵심기술을 확보하기 시작하다
신경영을 통한 사업구조 변화
1990년대에 들어 전자산업의 중심축이 정보통신 분야로 급격히 이동했습니다.
삼성전기는 신경영을 통해 그동안 양산 조립기술 중심으로 부가가치가 적고, 성장률이 낮았던 사업구조를
탈피하는 한편, 품질 확보와 독자기술을 위한 연구 개발에 집중했습니다.


세계 속의 종합부품
메이커로 도약하다
해외 생산법인 설립
세계 주요 지역별 현지 생산체제 구축을 통한
국제화 전략을 펼치기 위해 1990년부터
중국, 동남아, 유럽 지역에 생산거점을
본격적으로 가동했습니다.


동관 생산법인 준공식



자동차 부품사업을 전개하다
부산사업장 건설
삼성그룹이 승용차 및 부품사업에 진출하며 1994년 삼성전기가 부품사업을 추진할
주력업체로 선정되었습니다.
모터사업부를 중심으로 전자제어 및 전장품 중심의 자동차 부품사업 준비를 시작했으며,
1996년 12월 처음으로 생산한 국산화 부품을 삼성자동차에 공급했습니다.
국내 종합전자부품 업계 최초를 기록하다
매출 1조 원, 수출 10억 불 달성
주력 제품 및 차세대 유망 제품에 대한 집중 육성으로 사업 구조를 고도화한
결과로 1995년에는 국내 종합전자부품 업계 최초로 매출 1조 원과 수출 10억
불을 달성하는 쾌거를 거두었습니다.
단위 : 억 원
구분 | 1994 | 1995 | 1996 | 1997 |
---|---|---|---|---|
매출액 | 9,487 | 13,437 | 14,895 | 17,499 |
순이익 | 118 | 352 | 354 | 383 |

수상한 10억 불 수출의 탑
국민으로부터 존경과 사랑받는
기업을 지향하다
국내 최초 사회공헌 활동 전담조직 출범
1995년 삼성그룹은 국내 기업 최초로 사회공헌 활동
전담 조직을 출범하였습니다.
같은 해 7월 1일 삼성전기도 사회공헌팀을 정식으로
발족하였고, 국내외 법인에서 각 지역의 특성에 맞는
사회공헌 활동을 펼쳤습니다.


국내 배드민턴의 활성화를 도모하다
배드민턴단 창단
1996년 국내 배드민턴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우수선수를 발굴·육성하기 위해 배드민턴단을 창단했습니다.
배드민턴단은 2020년 3월 삼성생명으로 둥지를 옮겨 생활체육 활성화와 국민 건강 증진, 우수 선수 육성을 통해 국가 스포츠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금메달을 획득한 길영아-김동문 선수

올림픽(11개)金3, 銀4, 銅4 | 아시안게임(26개)金7, 銀6, 銅13 |
---|---|
|
|
삼성전기 홈페이지로 통하다
홈페이지 첫 개설


다가오는 인터넷 시대를 대비하여 삼성전기는 1996년부터 준비해
1997년 7월 정식으로 홈페이지를 개설하였고, 이후 전자상거래를 더욱 강화하기 위해
1998년 9월에 홈페이지 재구축을 완료하였습니다.
~ 2009